[논문의 종류]SCI급과 SCOPUS급 논문이란?
1. SCI급 논문
SCI (과학인용색인, Science Citation Index)는 미국 ISI (현 Thomson Scientific)에서 1960년에 출판한 과학 기술 분야의 인용 색인이다. 확장판인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가 온라인으로 서비스되고
Web of Science 플랫폼을 통해 과학기술분야의 SCIE 와 사회과학분야의 SSCI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 예술·인문학분야의 A&HCI (Arts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SCOPUS는 Elsevier에서 2004sus에 출판한 과학ㆍ기술ㆍ의학ㆍ사회과학 분야를 포함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초록ㆍ인용 데이터베이스이다. 포괄적인 검색, 최신 학술문헌 정보에 접근, 인용 분석을 제공해드리며, 연구자와 기관의 연구 활동 평가 등 오늘날의 연구 환경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하고 있다.
2. 논문의 수준 (sci급과 scopus급)
sci급의 논문만 인정되는 줄 알았지만 scopus급의 논문 또한 일반 학술지보다 인정 받는다는 정보를 얻었다.
석사에서는 그 급이 논문의 양과 급, 프로젝트들의 결과물인듯 하다.
결과적으로 SCI급은 1년가량 소요되며 국내에서 석사, 박사의 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로 보여지는데 scopus급도 유사하지만 한 단계 낮은 급으로 일반 학회 투고 논문에 비해서 높은 급으로 보여진다.
SCI급과 scopus급에 대한 정보는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의 링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3. 요약
SCI급에는 SCI와 SCIE 급이라해서 확장판 논문까지 있으며 열외로 SCOPUS도 SCI급으로 치는 경우도 있다(아직은 낮은 급으로 분류된다).
SCOPUS급 논문의 장점은 SCI급에 비해 검토 및 등재기간이 빠르고 경쟁률도 SCI급보다는 낮은 편이나 SCIE급보다는 높다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SCI > SCIE > SCOPUS > 기타 해외 > 국내 KCI(???) > 학술대회 > 일반 학술지
통상적으로 국내 논문은 상업적 수단으로 이용되다보니 학문 탐구보다는 확장, 개량 등 사업적으로 많이 이용하다보니 그렇게 우수한 연구논문이 공개적으로 학문탐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4. SCI / SCIE급 저널인지 확인하는 방법
해당 논문이 SCI/SCIE급인지 확인하는 법은 해당 등재 저널에서 확인하면 된다. 그렇다면 해당 저널이 SCI/SCIE 급인지 확인하는 법은? 공식홈페이지에서 검색이 가능한데 필자의 등재 저널의 경우 검색DB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찾아간 전남대 도서관에서는 매달 SCI/SCIE급의 저널의 유동현황을 공지하고있다. 해당 엑셀파일에서 원하는 저널의 급을 확인가능하다.
전남대 도서관 링크 - http://cnulib.tistory.com/488
by 춤추는 공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