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 이럴 땐 이렇게 도서 요약 ]



최근 원서도 많이 보고 그렇다고 바로 해석은 어려워서 번역작업을 많이 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 기회에 번역이나 해볼까라는 생각으로 읽게된 번역관련 서적, 생각보다 학교도서관에 책이 몇권 없더라. 그래도 이 책이 제일 괜찮았다. 이론적인 기초부터 실제 공식에 대한 심화와 실제 적용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서 잘 설명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번역은 뭐, 영어만 잘 하면 장땡이다. 많이 해보고 경험하고 읽어 볼수록 실력이 성장하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얼마나 더 깔끔하게 독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게 번역하는 가가 초벌 번역가와 숙련된 번역가의 차이인 것 같아 보인다. 

번역에서 가장 어려운건 역시나 의역이다. 그 문맥과 글의 배경과 나라의 특성, 문화, 기술적 배경 등을 고려해서 적절하게 번역해야 하기 때문에 정말 가장 어렵다고 생각된다. 영어만 잘해서는 안된다. 해당 번역 분야의 지식, 배경과 함께 번역하려는 언어에 대한 능숙한 어휘력과 이해도 또한 요구된다. 통번역 대학원은 왜 있나, 이런 생각을 가졌는데 역시나 세상에 쉬운 분야는 없다. 그냥 손쉽게 되는 번역이 있는가 하면 깊이있는 번역부터 문학적 글의 미적 감각을 살리는 번역까지 다양하고 어려운 번역의 분야가 많이 존재한다. 


본 책의 저자는 조원미 통번역가시며 이대와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하셨다. 역시 국내에서는 통번역은 한국외대가 아직까지 탑으로 손꼽히고 있다. 들어가기도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니라고 한다. 들어가서도 역시나 너무 힘들고 이야기를 들어보면 해외대학 출신이 아니면 합격하기도 어렵다고 한다. 근 30년 가까이 국내에만 살았던 난 참 해외 생활 한 번 안해본 것이 너무 안타깝다. 


이 책의 내용을 필기해두었는데 간략하게 리뷰만 해드리고자 한다. 

목차는 섹션 1, 2로 나누어진다. '좋은 번역이란? / 번역 강의' 이렇게 두개의 챕터로 나누어 지며 첫번째 챕터에서는 한글과 영어의 구조적 차이를 분석하고 우리말 표현으로 번역을 제대로 구사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외적인 요소(고유명사, 단위 등)의 번역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2챕터에서는 정치, 경제, 문학, 과학 등 다양한 원문을 가지고 배경지식과 번역방법, 주의할 부분 등에 대해 한 분야별로 실제 번역방식을 보여준다. 


본문이다. 

영문학은 syntacs(구문학)과 semantics(의미학)으로 나누어진다. 영어는 총 12시제가 있고 우리말은 단, 복수의 변화가 온화하다. 또한 우리말에는 영어의 정관사, 부정사, 관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 적용 기법으로는 동사 + 명사의 번역은 ex) 시도해보다 - 그것에게 시도를 주다. 같은 사례가 있다. 동사와 명사의 해석을 통합해 저런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형용사 + 명사의 해석 또한 그렇다. ex) 상승하는 물가 - 물가 상승 / 훨씬 더 깔끔하고 이해가 잘 되지 않는가? 

이렇게 기초적인 부분과 배경지식을 잘 잡아주는 책이다. 처음엔 너무 쉽다고 패스하기 보단 차근차근 아는 것도 한 번 더 읽어보길 권해드린다. 이제 2챕터에서는 실제 사례인데 아, 이렇게 하는 구나, 저렇게 되는 구나 하면서 느끼는 부분이 많으실 것이다. 이해는 하지만 이걸 번역해서 깔끔하게 다듬기란 생각보다 머리가 아프다. 

뇌가 꼬여가는 느낌이다.^^;


저자님께서 저서에서

정말 유용한 사이트와 링크를 추천해주셨는데 아래에 첨부하겠다. 


magazine.joins.com/newsweek - 기사들이 한글, 영어로 되어 있어 틈틈히 읽으면서 시사와 번역사례를 공부하기 좋다.

joongangdaily.joins.com - 유사

www.unep.or.kr - 유사

realtime.wsj.com/korea - 유사

www.malteo.net - 외래어를 우리말로 다듬어주는 공식사이트이다. 

http://speller.cs.pusan.ac.kr/PnuSpellerISAPI_201504/ - 부산대학교의 맞춤법 검사기, 구글 검색 최상단에 위치, 활용도가 좋다.

www.acronymfinder.com - 여긴 영어 약어 검색 사이트이다. HIPAA라고 검색하니 다음 3개의 단어가 뜨며 첫번째 항목인 건강보험책임과 양도에 관한 법률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ww.klti.or.kr/main.do - 이 사이트는 한국 문학 번역원인데 번역서적 추천이나 아카데미 등 다양한 섹션이 있다. 

http://www.merriam-webster.com/ - 1826년부터 시작된 영어사전으로 가장 정확하고 방대한 DB를 가지고 있다.



by 춤추는 공학도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클릭

Tags

Read Next